전 글에서 도커의 이미지 정보는 레이어 단위로 쪼개서 저장한다고 설명하였다.
실제로 도커 명령어를 통해서 도커의 이미지 정보, 이미지의 레이어 정보를
어떻게 저장하고 관리하는지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도커 터미널 명령어
1. 도커 이미지 정보 확인
docker inspect {{image}}
2. 도커 이미지 저장소 위치 확인
docker info
3. 레이어 저장소 확인
root@server1-VirtualBox:/var/lib/docker/overlay2# ls
docker info 명령어를 통해 도커 루트디렉토리와 레이어 스토리지 경로를 알 수 있다.
레이어 스토리지 디렉토리에 레이어 정보들이 있다.
4. 이미지 히스토리 확인
docker history nginx
도커 구성 요소
image 디렉토리 안에 imagedb와 layerdb디렉토리가 있는데
imagedb에 대한 정보가 layerdb에 있고
layerdb에 대한 정보는 overlay2라는 곳에 있다.
overlay2라는 곳엔 변경사항들이 저장되어 있는데
overlay2/l 디렉토리에 변경사항들의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실질적인 이미지의 대한 정보는 overlay2에 있는 것이다.
'Dock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8. 도커(Docker) 이용하여 Jenkins(설치) (0) | 2021.12.18 |
---|---|
[Docker] 7. 도커(Docker) 유용한 명령어 (0) | 2021.12.15 |
[Docker] 5. 도커(Docker) 이미지 비밀 레이어 (0) | 2021.12.13 |
[Docker] 5. 도커(Docker) 라이프 사이클 관련 명령어 정리 (0) | 2021.12.08 |
[Docker] 4. Docker 라이프 사이클의 이해 (0) | 2021.12.06 |